질주하는 세계 바이오 산업..한국은 제자리 걸음..특허 기술이전료 美의 10분의 1 불과

2014. 2. 12. 03: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허활용 사업화 미흡

대학 등 소유특허 발굴

기술이전 촉진 서둘러야

[ 은정진 기자 ]

바이오 벤처기업 메디톡스(대표 정현호)는 자체 개발한 차세대 액상형 보툴리눔톡신(보톡스) 후보물질을 미국 제약사 엘러간에 3억6200만달러(약 3898억원)를 받고 기술이전하는 계약을 지난해 9월 체결했다. 세계에서 보톡스를 만들 수 있는 7개사 가운데 엘러간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보톡스'로 연간 2조원의 매출을 기록, 세계 시장점유율 80%를 차지한 회사다.

메디센서(대표 정재안)는 초소형 바이오 진단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다. 2010년 설립된 이후 정부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12건의 특허를 등록했고 36건을 출원했다. 2010년 15억원이던 매출은 지난해 30억원을 기록했고 올해는 200억원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 산업은 수년 전부터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지정돼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지원을 받아왔다. 메디톡스와 메디센서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하지만 바이오 산업이 한국 경제를 견인하는 주축 산업으로 성장하려면 많은 숙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생산성이 있는 특허를 가졌으면서도 사업화를 위한 기술이전으로까지 연결시키지 못하는 상황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허청이 2012년 '국가 간 정부 연구개발(R & D) 특허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정부가 2010년 투입한 R & D 비용 10억원당 특허출원 건수는 국내 대학이 평균 1.93건, 공공연구소는 1.04건을 기록했다. 일본 대학과 공공연구소(0.4건), 미국 대학(0.26건), 캐나다 대학 및 공공연구소(0.22건)보다 3~5배 많다.

하지만 특허 상업화를 평가하는 지표인 '국가별 특허 기술이전료'는 한국 대학 및 공공연구소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건당 4480만원으로 미국(4억1720만원), 캐나다(6360만원)보다 훨씬 적다.

산업부는 '산업핵심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중소·중견 및 벤처기업,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산업핵심기술 특허를 발굴해 이전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최수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바이오PD는 "특허 개발 및 유지를 위한 돈이 부족한 바이오 벤처기업과 특허 수요자인 중소·중견기업이 사업협력계약을 통해 컨소시엄을 구성하면 정부가 해당 컨소시엄을 선정해 연간 7억원씩 4년 동안 연구개발비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석진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나노 과장도 "특허 공급자와 산업체 간 연결 및 지식재산 매각, 기술이전에 관한 애로사항 등을 해결하기 위해 인프라를 구축하고 신기술 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 한경+ 구독신청] [ 기사구매] [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