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받는 '백두산 재분화설'.."언제든 폭발"

2010. 6. 18. 05: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소 100년에 1차례 폭발…최근 전조 현상 급증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백두산이 다시 화산폭발을 일으킬 개연성은 오래전부터 제기돼 왔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역사 기록상 백두산이 마지막으로 분화(噴火)한 것은 1903년이었다.

1702년과 1668년, 1597년, 1405∼1406년, 1403년, 1401년, 1373년, 1217년, 1199∼1201년, 1176년, 1122년 등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도 분화 기록은 계속 나온다.

시간 간격은 일정치 않지만 대체로 100년에 1차례 정도 분화가 발생한 셈이어서 언제든 다시 폭발할 개연성이 높아졌다.

1990년대 중반에는 백두산 주변의 지진 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중국 화산학계에서 재분화를 경고했고, 그 결과 1999년 중국이 백두산에 화산관측소를 설치했다.

이후 `재분화 임박설'은 한동안 수그러들었다가 2002년 6월 중국 지린(吉林)성 왕청현에서 규모 7.3의 지진이 발생하고서 백두산 일대 지진 빈도가 10배로 뛰는 등 화산 폭발 조짐이 급증한 것을 계기로 다시 시선을 끌었다.

2010년 2월에는 백두산 근방에서 발생한 규모 6.9의 강진이 지하의 마그마를 자극했을 가능성이 지적돼 국내외 화산학자들과 지진학자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최근 기상청에서 `백두산 화산위기와 대응'을 주제로 세미나 발표를 한 윤성효 부산대 교수는 18일 "정확한 시점을 예측할 수는 없으나 가까운 장래에 백두산이 폭발을 일으킬 것이 확실하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2007년 이후 화산 분화 전조(前兆) 현상이 잠잠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얘기도 있었으나 지난해 5월 규모 4.7의 지진에 이어 올해 2월 규모 6.9의 지진이 또 일어나는 등 분화 조짐이 멈추지 않고 있다"고 소개했다.

윤 교수는 "`휴화산(休火山)'이라는 용어를 일반인들이 흔히 쓰지만, 인간이 역사를 기록한 시대에 분화했던 화산은 모두 `활화산'으로 보는 것이 학자들의 일반적 견해다. 백두산도 언제든 폭발할 수 있는 활화산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solatido@yna.co.kr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