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논평]A rising tide of ignorance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By Suzanne Fields(syndicated columnist)
Reading is in trouble today. Americans, particularly young Americans, limit themselves to information ― "data," in the cliche ― collected on a computer screen and in tiny letters on a cell phone. This holds serious risks. Digital information replaces knowledge, opinion is confused with fact, and wisdom is lost in a whirlwind of words, words, words, many misused, others without substance. Veritas goes unverified when the source is Wikipedia, the encyclopedia on the Internet that has no fact checkers. Keeping their students from plagiarizing from the Internet, complain university professors, is like trying to prevent a stampede with a wooden fence. Students ace courses without ever going to primary sources.
Weak reading habits start early. International studies show that reading scores of American 13-year-olds rank far behind the scores of teenagers in Poland, Korea, France and Canada. In one study of what 17-year-olds know of history and literature, the surveyors found mostly ignorance. Frederick M. Hess, an education scholar who conducted the interviews, found that fewer than half could identify Job in the Old Testament or Oedipus in the plays by Sophocles. Many had never heard of the novel "1984" or knew the meaning of "Orwellian." Few could tell the interviewers when the Civil War was fought.
"Pundits, novelists, and journalists routinely wield references to Job and Oedipus when writing about the trials of a public figure or the complexities of familial relationships," says Frederick Hess. "High school graduates unacquainted with these terms are handicapped when it comes to engaging in such public debates."
In my own personal survey of stories from various newspapers in the last week, I found numerous literary references to T.S. Eliot ("The Wasteland" and "The Hollow Men"), Shakespeare ("Macbeth" and "Hamlet"), Melville ("Billy Budd" and "Moby Dick") and William Faulkner ("The Sound and The Fury"). No Child Left Behind legislation was well intentioned, but its emphasis on testing has had unintended consequences. Not only do many teachers teach to the test, but literature and history have been moved to the margins, preserving ignorance, and shorting subjects that emphasize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ome reforms have worked better than others, creating a knowledge gap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s." In the Common Core survey, for example, children with at least one college-educated parent far outstripped those whose parents did not go beyond high school.
美 청소년들의 심각한 독서 부족수전 필즈(美 칼럼니스트)
오늘날 독서가 문제가 되고 있다. 미국인들, 특히 젊은이들은 컴퓨터 화면과 깨알 같은 글씨가 나타나는 휴대폰에 수집된 '데이터'란 은어로 불리는 정보에 독서를 한정시키고 있다. 이런 방식은 심각한 위험 부담을 안고 있다. 디지털 정보가 지식을 대신하고, 견해가 사실과 혼동되며, 다수가 잘못 사용되고 내용이 없는 단어들의 소용돌이 속에 지혜가 상실되고 있다. 인터넷 백과사전으로서 사실 확인을 하는 조사 담당자가 없는 위키피디아가 출처로 인용될 때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진리 행세를 한다. 대학생들이 인터넷 내용을 표절하는 것을 막는 것은 도망치는 소떼를 나무울타리로 막으려고 애쓰는 것과 비슷하다고 대학교수들은 불평한다. 대학생들은 1차적인 자료의 출처도 참고하지 않고 각종 과목에서 A 학점을 딴다.
부실한 독서 습관은 어려서 시작된다. 다수의 국제적인 연구는 13세 미국 학생의 독서 점수가 폴란드, 한국, 프랑스, 캐나다의 10대들보다 크게 뒤지는 것을 보여 준다. 17세 학생들의 역사 지식을 조사한 어느 연구에서 조사자들은 대부분의 학생이 무지한 사실을 발견했다. 면담 조사를 담당한 교육학자 프레더릭 M 헤스는 구약성경의 욥과 소포클레스 비극의 오이디푸스를 아는 학생이 절반도 안 되는 것을 발견했다. 소설 '1984년'이나 '오웰적인'이란 단어를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학생이 많았다. 미국의 남북전쟁이 일어난 해를 면담자에게 말할 수 있는 학생은 거의 없었다.
프레더릭 헤스는 이렇게 말한다. "전문가들과 소설가들, 언론인들은 저명인사의 재판이나 가족관계의 복잡성에 관한 글을 쓸 때 욥과 오이디푸스를 다반사로 언급한다. 이러한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고교 졸업자들은 그러한 공개토론에 참여할 때 불리해진다."
필자가 지난주 여러 가지 신문 기사를 직접 조사한 결과 T S 엘리엇('황무지'와 '텅빈 사람들'), 셰익스피어('맥베스'와 '햄릿'), 멜빌('빌리 버드'와 '모비 딕'), 윌리엄 포크너('음향과 분노')에 관한 문학적 언급이 다수 등장하는 것을 발견했다. 아동 낙오 방지법은 취지가 좋았으나 시험 중시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했다. 다수의 교사들이 시험에 대비하여 가르칠 뿐만 아니라 문학과 역사 과목이 경시됨으로써 학생들의 무지를 깨치는, 창의적이며 비판적인 사고를 강조하는 과목들을 단축시킨다.
몇 가지 개혁은 다른 개혁보다 효과를 거두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의 지식 격차를 만들어냈다. 예를 들어 커먼 코어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적어도 부모 중 한 사람이 대학 교육을 받은 아동은 고교 이하의 학력을 가진 부모의 자녀보다 지식이 훨씬 많았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해설판 in.segye.com/english 참조
▲Veritas: 진리
▲pundit: 석학, 권위자
▲outstrip: 능가하다
ⓒ 세계일보&세계닷컴(www.segye.com),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통한 소식통에 들었다”던 박지원…이재명 파기환송에 “예상외 판결”
- "(뉴진스) 계약은 장난이 아니다" 레전드 프로듀서의 일침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이것들 봐라? 한 달만 기다려라” 민주당 ‘보복’ 예고?…하루도 안 넘기고 심우정 총장 탄핵
- '도난 피해' 박나래, 결국 눈물 쏟았다…김지연 "한결같이 잘해준 유일한 분"
- 백종원 “이제 다 바꾸겠습니다”…50억 쏟아부은 이유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