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사설]The ''line'' from Pakistan

2006. 10. 2. 21:22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Pakistani President Pervez Musharraf chose an utterly bizarre time to release and promote his memoir "In the Line of Fire." Embroiled in a vital war against radical terrorism, Pakistan has handed over control of the northern region of its country, known as North Waziristan, to the Taliban and has seen its intelligence service, the ISI, infiltrated by radicals,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from the RAND corporation.

The book was occasioned primarily by Gen. Musharraf's perceived need to refute claims made by former Prime Minister Nawaz Sharif in his autobiography, released in Pakistan several months ago. But the decision for a world leader to publish such a memoir is downright strange. Lisa Curtis, a senior research fellow at the Heritage Foundation, called the book's release "highly unusual." Its release was likely intended to allay some of the domestic pressures the Pakistani president faces, but as Mrs. Curtis notes, Gen. Musharraf may not have thought out the consequences of revealing so much information, particularly his conversations with other world leaders.

Answering Mr. Sharif's account of the 1999 conflict between India and Pakistan in Kashmir (after which Gen. Musharraf ousted Mr. Sharif in a military coup) was a primary goal of the book, but the repercussions show a real lack of foresight on the part of the Pakistani leader. His recounting of that conflict "raises serious questions about the use of violent militants to accomplish Pakistani goals," according to Mrs. Curtis. The general's biased retelling of the conflict, along with the acknowledgment of cooperation between jihadists and the Pakistani military, then under his command, and the failure to mention the Lahore peace talks has caused justifiable outrage in India. Either Gen. Musharraf is a truly maladroit diplomat, or he feels himself in a particularly precarious position at home.

Gen. Musharraf is under severe pressure from several groups in Pakistan, many with strong anti-American sentiments. He has been targeted in at least two assassination attempts. Some of Gen. Musharraf's revelations ― that the CIA paid the Pakistani government to hand over al Qaeda suspects ― can clearly be read as attempts to bolster domestic support, or at least to deflect some domestic opposition. That he would disclose this information, some of which sounds more like admissions than accusations, demonstrates the intensity of the opposition that Gen. Musharraf faces.

파키스탄 대통령의 기이한 회고록 판촉

파키스탄의 페르베즈 무샤라프 대통령은 자신의 회고록 '사선에서'의 발간과 판촉을 위해 지극히 기이한 시기를 선택했다. 란드연구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과격 테러와 맞선 중대한 전쟁에 휩쓸려든 파키스탄은 북부 와지리스탄이라 불리는 자국의 북쪽 영토에 대한 관할권을 탈레반에게 넘겨 주었고 파키스탄의 정보부인 ISI에는 과격파 분자들이 침투해 있다.

몇 달 전에 파키스탄에서 발간된 자서전에서 나와즈 샤리프 전 총리가 제기한 여러 가지 주장에 대해 무샤라프가 반박해야 할, 납득할 만한 필요가 이 회고록 발간의 주된 동기였다. 그러나 세계적인 지도자가 그러한 회고록을 발간하기로 결정한 것은 전적으로 이상하다. 헤리티지재단의 선임연구원인 라이자 커티스는 이 책의 발간이 '극히 이례적'이라고 지적했다. 회고록의 발간으로 파키스탄 대통령이 직면한 국내의 각종 압력을 다소 덜겠다는 의도가 깔렸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커티스가 지적한 바와 같이 무샤라프 장군은 그처럼 많은 정보, 특히 그가 다른 세계 지도자들과 나눈 대화를 공개하는 데 따르는 여러 가지 결과를 생각하지 못했던 것 같다.

인도와 파키스탄이 카슈미르에서 1999년에 벌인 전쟁에 관한 샤리프의 설명에 대한 답변이 이 책의 주된 목표였지만 책의 발간이 불러일으킨 반향은 파키스탄 지도자의 예견 능력이 참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드러낸다. 이 전쟁이 끝난 후 무샤라프 장군은 군사쿠데타를 일으켜 샤리프를 축출했다. 커티스에 따르면, 이 전쟁에 관한 그의 자세한 설명은 "파키스탄의 각종 목표 달성을 위해 폭력적인 전투원들을 이용한 것이 아닌가 하는 심각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킨다." 이 전쟁에 관한 장군의 편향된 재설명, 당시 그가 지휘한 파키스탄 군과 성전주의자들의 협력 사실 인정, 라호르 평화회담에 대한 언급 회피로 인도 측의 분노를 샀는데 인도는 정당화할 만하다. 무샤라프 장군은 참으로 서투른 외교관이거나 그가 국내에서 유난히 위태로운 입장에 처한 것으로 생각된다.

무샤라프는 파키스탄 내부의 몇몇 단체로부터 심각한 압력을 받고 있는데 그 대다수는 강한 반미감정을 갖고 있다. 그는 적어도 2차례 암살기도의 표적이 되었다. 파키스탄 정부가 알 카에다 대원이란 혐의를 받은 사람들을 넘겨 주고 미국 중앙정보부(CIA)로부터 돈을 받았다는 것 등에 관한 무샤라프의 여러 가지 폭로는 국내의 지원을 강화하거나 혹은 적어도 국내의 일부 반대를 회피하려는 기도로 읽혀질 수 있다. 부분적으로 비판이라기보다 시인에 더 가까워 보이는 이 같은 정보공개는 무샤라프 장군이 직면하고 있는 반대의 강도를 보여 준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해설판 in.segye.com/english 참조

▲promote:광고선전으로 판촉하다

▲embroil:끌어들이다

▲infiltrate;침투하다

ⓒ 세계일보&세계닷컴(www.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